반응형

PyCharm 사용환경 : Ubuntu 20.04 / PyCharm Community Edition 2023.2

 

pycharm의 프로젝트 창에서 pkl파일을 다른 확장자로 열었다가 파일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아 코드가 아예 안돌아가는 문제가 있었다.

느낌상 이건 pycharm 자체에서 파일을 불러올 때 문제가 있는 것 같았다.

pycharm 자체의 환경설정만 초기화 해주면 될 것 같아서 공식 홈페이지의 방법을 따라 IDE설정을 초기화해줬더니 다시 제대로 pkl파일을 불러와서 코드가 돌아갔다.

해결방법은 아래와 같다.

 

PyCharm의 File > Manage IDE Settings > Restore Default Settings > Restore and Restart

 

[References]

https://www.jetbrains.com/help/pycharm/configuring-project-and-ide-settings.html#f45b6f4f

 

Configuring PyCharm settings | PyCharm

 

www.jetbrains.com

 

반응형
반응형

Jupyter Notebook 사용환경 : Window 10

 

Jupyter notebook  실행 중에 갑자기 커널이 죽었다는 메시지가 뜨길래 다른 블로그들을 참고하여 버퍼 크기를 늘려보았으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사실 너무 오랜만에 Jupyter Notebook을 실행한거라 pip 자체의 업데이트도 실행해줬는데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었다.

 pip library들도 너무 오랫동안 업데이트 해주지 않았던건가 싶어서 아래의 블로그에서 본 라이브러리 전체 업데이트 명령어를 통해 커널이 죽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https://seong6496.tistory.com/152

 

[Python] pip 패키지 설치제거, 버전 업그레이드

cmd에서 pip 패키지 설치와 버전 업그레이드 방법입니다. cmd를 관리자 모드로 실행시켜서 수행합니다. 설치 설치는 cmd에서 다음을 입력합니다. pip install "패키지이름" 버전을 지정하고 싶다면 == "

seong6496.tistory.com

 

pip library를 전체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command에서 하거나 windows shell을 통해서 할 수 있지만,  command로 했을 때 일일이 수정해주기 귀찮아서 windows powershell을 사용했다.

Windows powershell관리자모드로 실행해주고 아래의 명령어를 쳐서 pip 라이브러리들을 전체 업데이트 해줬더니 더이상 커널이 죽지 않고 잘 돌아간다.

pip freeze | %{$_.split('==')[0]} | %{pip install --upgrade $_}

 

 

 

반응형
반응형

Jupyter Notebook 사용환경 : Window 10

 

command창에서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명령어를 실행하면 jupyter notebook의 실행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jupyter_notebook_config.py 파일이 생성된다.

 

하지만 본인의 경우 cmd에서 위 명령어가 먹히지 않아 우선은 주피터 노트북에서 임시로 python3 파일을 생성한 후, 똑같은 명령어를 써주되 앞에 !를 붙여주고 실행했더니 jupyter_notebook_config.py파일이 만들어진 경로가 떴다.

임시로 python3 파일 하나 생성
기존의 명령어 앞에 !를 붙여서 실행해준다. 그럼 밑에 파일이 생긴 경로가 생성된다.

 

하이라이트 된 경로를 찾아서 들어가보면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파일을 sublime text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 프로그램으로 열어준다.

 

파일 내에서 c.NotebookApp.notebook_dir 키워드를 찾아보면 # c.NotebookApp.notebook_dir = '' 라고 적혀있고 주석처리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자신이 실행시키고 싶은 경로를 c.NotebookApp.notebook_dir = '실행할경로작성'에 넣고 앞에 있는 주석처리인 #을 없애서 저장해준 뒤 jupyter notebook을 실행시키면 본인이 작성한 폴더경로에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참고로 폴더 경로를 작성할 때 \ 대신 / 를 써서 작성해줘야 한다.

경로를 설정하고 주석표시인 #을 삭제한 후 저장해준다.
jupyter notebook을 실행시키면 본인이 지정한 경로에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